(한국글로벌뉴스 - 박종욱 기자) 포천시는 9일부터 11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 중인 2025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에 참가해 ‘한미협력 공동관’을 운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 주최한 이번 엑스포에서, 포천시는 ‘유네스코(UNESCO) 포천, 지역특화 첨단모빌리티 플랫폼(NEXT-P)’ 통합관을 구성해 미래 기술 전략을 제시하고 비전을 소개한다.
특히 10일에는 지역특화 첨단모빌리티 플랫폼 구축을 위한 한미 글로벌 공동 공급망 조성 인환으로 미국 노스다코타주 등 해외 협력사와의 연계 방안을 논의했으며, ㈜하이리움, ㈜그리폰다이나믹스, ㈜스페이스 이엔에스 등 글로벌 기업들과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이리움은 수소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 등 수소 에너지 전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글로벌 기업이다. 특히 액화수소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고중량 장기체공 수소 드론 제작에 참여할 예정이다.
㈜그리폰다이나믹스는 해외 수출 중심 기업으로 도시 항공 교통(UAM), 군사용 및 산업용 초대형 드론 운영 체계를 제작한다. 시와의 협약을 통해 고중량 수소 기반 드론 및 모빌리티 제작을 공동 추진한다.
㈜스페이스 이엔에스는 온보드 인공지능(AI)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기반 초소형 위성 플랫폼을 통해 도시 항공 교통(UAM), 드론, 자율주행, 도시 인프라, 재난 관제 등 분야에서 실시간 관제를 구현한다. 산악 및 고도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통신과 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개발·실증할 계획이다.
최근 중국 등 주요국은 저고도 경제(해발 1,000~3,000m)로 드론산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규제도 강화되는 추세다.
포천시는 데이터·인재·기술개발의 3대 축으로 한 지역 맞춤형 실천적 전략(NEXT-P)을 수립한다. 특히 위성통신 기반 차세대 통신 인프라, 고중량 임무 기반 기체, 탄소중립을 위한 수소-리튬 간 에너지 전환 기술을 융합한 미래형 운영 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한탄강 일원을 자연생태와 첨단기술이 융합된 국가급 과학기술 실증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라며, “자율주행, 로봇, 무인이동체 등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의 최고 수준 실험 및 검증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천시를 자연 친화형 미래기술 실험지대로 전환하기 위해 기후 탄력적 발전 경로(CRDPs)를 추진하고, 포천의 특화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