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진입유 기자) 외국의 기업과 개인을 포함한, 전체 외국인의 우리나라 상표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223,779건의 상표를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우리나라 전체 상표출원 1,517,626건의 14.7%에 해당하는 점유율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18,270건이었던 출원이 2018년에는 29,795건으로 크게 늘어나 외국인의 출원 증가세가 규모면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TM5 국가를 중심으로 한 상표출원이 많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상표를 출원한 159개국 중 TM5 국가를 포함해 상위 10개국이 187,093건을 출원해 전체 223,779건의 83.6%로서 절대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중 미국이 57,810건으로 우리나라에 가장 많은 상표를 출원했고, 이어서 일본 33,847건, 중국 30,908건, 독일 16,453건 순이었다.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상표출원을 많이 한 주요품목은 핸드폰 등 생활밀접 형 상품들이다.
외국인의 다출원 상위 10개 품목은 핸드폰 등 전자기계기구, 의류, 화장품, 의약품과 같은 주로 생활과 밀접한 상품으로 총 120,841건을 출원했다.
이는 전체 223,779건의 54%에 달하는 것으로, 이러한 품목에 상표출원이 집중되는 이유는 상품의 트렌드 변화가 빠른 등 생활과 밀접한 상품의 주된 특성으로 인해 ‘신제품의 개발과 출시’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허청 이재우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외국인의 우리나라 상표출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브랜드의 성공여부를 가름할 수 있는 주요 시험무대가 됐고, 또한 우리 경제의 규모가 점점 커짐에 따른 것으로,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