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 및 공업정보화부는 공동으로 '식품 및 화장품 과대포장 규제(限制商品过度包装要求食品和化妆品)' 국가표준을 발표하였으며, 2022년 8월 15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신규 표준은 식품 및 화장품의 포장 공간비율, 포장 횟수, 포장 원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했으며, 제과, 주류, 차, 음료, 건강기능식품 등 품목별로 포장 규제사항을 명시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월병(月饼), 쭝즈(粽子) 등 가공식품의 3중 이상 포장을 금지 △월병의 포장 공간비율을 12%에서 7%로 조정하여 포장 부피를 42% 감축 △포장 원가 인하.제품 판매가격이 100위안(약 1만 8천원)이상 일 경우, 포장원가가 판매가격의 15%를 초과 불가하며, 제품 판매가격이 100위안(약 1만 8천원) 이하일 경우 포장원가가 판매가격의 20%를 초과 불가 △포장에는 귀금속 및 마호가니 원목 등 귀중한 원자재 사용을 금지 △한 종류의 제품에 다른 제품을 섞어 포장하는 것을 금지. 월병, 쭝즈 등에 기타 제품을 추가하여 포장하는 것을 금지 등이다. [출처 : 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올해 1~5월 베트남 농수산물의 총 수출입액은 전년동기대비 8.6% 증가한 413억 달러로 추산 된다. 1~5월 수출액은 전년대비 16.8% 증가한 232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액은 0.3% 감소한 181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농산물 수출액은 10.4% 증가한 94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임산물 수출액은 7.6% 증가한 77억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산물 수출액은 46.3%증가한 48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액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한 품목은 9개 품목이다. 커피, 고무, 쌀, 캐슈넛, 과일, 채소, 생선, 새우, 목재, 생산 자재 등 9개 품목이다. 수출 시장에서는 아시아 지역의 수출액이 전체 시장의 41.6%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 30.4%, 유럽 12%, 오세아니아 1.7%, 아프리카 1.5% 등이 뒤를 이었다. 수입 시장에서는 미국이 65억 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28%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목재 및 목재 제품 부문이 전체의 67.5%를 차지했다. 중국은 41억 달러를 기록하며 그 뒤를 이었다. 베트남 농무부는 이러한 성과가 그동안 정부가 주도해 온 양자 및 다자간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은 6월 2일 15:00-15:40간 '아딜 투르수노프(Adil TURSUNOV)' 카자흐스탄 외교부 차관과 면담하고 △양국관계 발전 △실질협력 증진 △다자 및 국제무대 협력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하였다. 조 차관은 우리 신정부 출범에 이어 투르수노프 차관의 방한이 이루어 진 것을 환영하였고, 양 차관은 고위 인사 교류 확대를 통해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양 차관은 교역·투자·에너지 등 분야에서 양국 간 실질 협력이 꾸준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호혜적인 경제 협력을 확대시켜 나가기로 했다. 특히 조 차관은 경제안보 관점에서 에너지 자원 부국인 카자흐스탄과의 우라늄 및 희토류 등 공급망 분야 협력 강화와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원전 참여를 희망하였고, 투르수노프 차관은 카자흐스탄 원전 입찰 시 한국 기업의 참여를 환영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양 차관은 올해 외교관계 수립 30주년의 의미를 살려, 올 하반기 개최될 문화 공연, 전시회, 영화제 등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통해 양 국민간 우호 및 상호 이해가 증진될 수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금년 한국과 카자흐스탄 간 수교 30주년을 맞이하여, 제4차 한-카자흐스탄 문화공동위원회가 6.2일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에서 견종호 공공문화외교국장과 바크니야즈 사울레토프나 카라시나(Bakhniyaz Sauletovna Karashina) 카자스흐탄 문화부 국제협력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수교 30주년 기념 양국 문화행사 준비, △문화·예술, 문화유산 보존, 교육, 인적교류, 스포츠 등 분야에서 협력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합의의사록(Agreed Minutes)에 서명하였다. 견종호 국장은 양국이 2009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후 정무, 경제뿐 아니라 문화 분야에서도 협력을 심화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특히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아 앞으로도 새로운 30년을 향한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문화, 인적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호 협력관계를 심화해가자고 하였다. 또한 금년 제15차 '한-중앙아 협력 포럼'과 양측이 준비 중인 30주년 축하 행사들의 성공적 개최를 통해 양국 관계가 더욱 강화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하였다. 카라시나 국장은 카자흐스탄 측도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이상렬 외교부 아태국장은 6월 2일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 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과 한일 국장 협의를 실시했다. 양 국장은 조속한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재확인하고, 한일 간 제반 현안 및 인적 교류 등을 포함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이 국장은 동해상 해양과학조사와 관련, 우선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라고 강조하고, 유엔해양법협약 등 국제법 및 국내법령에 따라 이루어진 정당한 활동에 대한 일측의 어떠한 문제제기도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양 국장은 앞으로도 한일 관계의 복원 및 개선을 위해 보다 속도감을 갖고 외교당국 간 소통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국방부는 6월 2일 오전 중국 국방부와 제20차 한·중 국방정책실무회의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했다. 양측 수석대표로 우리측은 김상진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중국측은 송옌차오(宋延超) 국방부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참석한 가운데, 양측은 한반도 및 역내 안보정세와 상호 관심사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 국방교류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 양측은 한중 간 상호존중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자는데 인식을 같이하였으며, 국방부문에서도 고위급 소통과 교류협력을 통해 양국 간 군사적 신뢰 관계를 증진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한중 국방부가 우발충돌 방지와 위기관리를 위해 2021년에 개정한 「한중 해‧공군 직통전화 양해각서」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직통전화의 추가 개통도 빠른 시일내 마무리한 후 실제로 운용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6월 중순 싱가포르에서 개최 예정인 샹그릴라 대화 기간 중 한중 국방장관회담을 개최하기로 하고, 구체 의제 및 일정에 대해서는 계속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조현동 외교부 제1차관은 6월 2일 오전 외교부 청사에서 취임 축하 인사차 방문한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를 접견하고, 한중관계 및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조 차관은 신정부 출범과 맞물려 한중 고위급 간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관계가 상호존중과 협력 정신을 바탕으로 보다 성숙하고 건강하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양측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했다. 이를 위해 한중 고위급 포함 각 급간 교류·소통을 강화하고, 경제·보건·기후변화·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력협력을 확대해 나가자고 했다. 아울러, 북한이 탄도 미사일 발사 도발 등 역내 안정을 크게 저해하고 있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자제 및 대화 복귀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당부했다. 싱하이밍 대사는 한반도 및 역내 정세 안정의 중요성에 공감을 표하고, 앞으로 양국이 각 급에서 긴밀히 소통하면서 양국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는데 적극 공감했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5월 중국 철도 화물 운송량은 3.4억 톤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대비 6.6%(2,110만 톤) 증가했다. 5월 일평균 화물열차 18.26만 편을 운행했으며, 전년 동기대비 7.4% 증가했다. 5월 중국-유럽 화물열차(中欧班列)는 1,357편 운행했으며, 12.95만 컨테이너의 화물을 운송. 일평균 열차 운행량 및 화물 운송량은 각각 12%, 13.3% 증가했다. 서부육해신통로(西部陆海新通道, 청두-브라질)의 컨테이너 운송량은 7.8만 대로 전년 동기대비 20.5% 증가했다. 중국-라오스철도(中老铁路)의 국경간 화물 운송량은 13.82만 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4.3% 증가했다. (출처: https://finance.sina.com.cn/china/2022-06-01/doc-imizmscu4566018.shtml)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외교부는 5.31일 오후 외교부 1층 국민외교센터에서 2022년 '동아시아-라틴아메리카 협력포럼(FEALAC) 국민대표단' 발대식을 개최하였다. 국내외 대학 재학생 36명으로 구성된 FEALAC 국민대표단은 앞으로 5개월간 민간외교관으로서 FEALAC 행사 및 우리의 외교활동 현장에 참여하여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고, 우리나라의 FEALAC 관련 협력을 널리 알릴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비대면 매체를 통한 우리 FEALAC 국민대표단의 창의적인 컨텐츠 제작 활동이 여타 FEALAC 회원국들의 높은 관심을 받아옴에 따라 금년에는 외국어 콘텐츠 제작 및 여타 회원국 청년들과 공동 컨텐츠 제작 등 활동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외교부는 금년 중남미 15개국과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되는 다양한 중남미 관련 외교행사에 국민대표단이 직접 참석하여 지식과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최근 중국 개혁발전위원회, 공업정보화부, 생태환경부 등은 공동으로 '2022년 가전 생산업체 회수 목표 책임제 사업에 관한 통지'를 발표하고 이번 사업에 참가하는 6개의 가전 생산업체 명단 및 회수량 목표를 제시했다. 6대 가전업체로는 하이얼(海尔), 거리(格力), TCL, 창훙(长虹), 메이디(美的), 하이센스(海信) 등이며, 회수량은 각각 600만 대, 512만 대, 441만 대, 85만 대, 40만 대, 18만 대임. 회수가전은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4대 품목을 포함하고, 회수량은 중국 연간 페기·분해 가전 총량의 20%에 해당된다. 중국가전협회 완춘후이(万春晖) 부비서장은 가전 생산업체의 회수 책임제 사업 전개는 가전제품 교체를 추진하고, 폐기가전의 분해·순환·재활용은 생태문명 건설에 유리하다고 밝혔다. [출처 : 중국전자신문]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EU 회원국 정상들은 30일(월) 해상 유조선을 통한 원유 수입금지를 포함한 제6차 對러시아 제재(안)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합의안은 5월 4일 발표된 EU 집행위 제6차 제재(안)과 대체로 유사하나, 유조선을 통한 원유 수입을 연내 중단하고,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입은 계속 유지하는 내용. 제재(안)은 금주 후반 EU 이사회의 형식적인 승인절차를 거친 후 발효될 예정이다. [원유 제재] 유조선을 통한 원유 수입은 제재 발효 후 6개월 이내, 석유제품은 연내 중단하되, 내륙국 헝가리의 특수한 사정을 고려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입은 당분간 유지했다. 헝가리-크로아티아 파이프라인 경유 원유 수입이 확대되면 헝가리도 러시아 원유 수입을 점차 중단. 헝가리-러시아 송유관이 전쟁 지역인 우크라이나를 통과함에 따라, 헝가리는 향후 갑작스런 공급 위기 대응을 위한 비상조치 시행 권한을 유보했다. 파이프라인을 통한 러시아 원유 수입이 가능한 독일과 폴란드는 연내 파이프라인을 통한 원유 수입을 중단할 것임을 자발적으로 약속했다. 원유 제재가 시행되면 러시아 원유 수입이 즉각 2/3 정도 감소하고 연내 약 90% 감소할 것으
(한국글로벌뉴스 - 아셀 기자) 5월 베트남의 해외입국자 수는 전년동기대비 12.8% 증가, 전월대비 70.6% 급증한 17만 2,900명을 기록했다. 올해 5월까지의 해외 방문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5배 증가한 36만 5,300명을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에 비하면 95% 낮은 수치다. 2022년 5월까지의 관광 수입은 전년 대비 34.7% 상승했다. 여행제한조치 해제와 제31회 동남아시안게임(SEA Games 31)의 개최에 따른 결과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1년 여행관광개발지수(TTDI)에서 8계단 상승한 52위를 기록했다. 베트남은 기존 60위에서 52위로 4.7퍼센트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상승폭이 큰 나라로는 베트남에 이어 인도네시아(32위, 3.4%), 사우디아라비아(33위, 2.3%) 등이 발표돘다. 세계경제포럼은 베트남의 순위 상승에 대해 코로나19의 성공적인 통제 및 유연한 대응, 안전한 관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출처:https://en.vietnamplus.vn/foreign-arriv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