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여버린 시민의 발... 광주시 버스 노선개편 재검토 촉구


이자형 도의원·황소제 시의원 광주 스마트교통과와 긴급 정담회 실시

 

(한국글로벌뉴스 - 박소연 기자) 지난 22일 이자형 경기도의원(민주당, 비례)과 황소제 광주시의원(민주당, 다선거구)은 시내버스 노선개편과 관련하여 광주시 스마트교통과와의 긴급 정담회를 실시했다.

 

광주시는 오는 8월 1일부터 시내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할 것을 밝혔다. 버스 노선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는 8년만의 대개편이다. 이번 노선개편은 방세환 시장의 대표적 선거공약(“광주시 버스노선체계 개편”)이자, 이미 수년 전부터 확정된 추자동 버스 차고지 이전에 따라 예고되어 온 사안이었다.

 

따라서 그간 충분한 검토 및 시민 의견 수렴의 시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행되지 않아 이번 개편이 졸속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시민들에게 사전 안내와 설명이 부족했으며, 교통소외지역 주민에 대한 세심한 고려 없이 개편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일부 지역은 버스 노선이 아예 사라지거나 환승 없이 이동이 어려워졌고, 기존의 익숙하던 노선은 급격히 바뀌어 특히 노인, 학생,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침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날 정담회에서는 지역주민들의 우려와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가운데 성남~오포1ㆍ2동~광주역~광주차고지를 노선으로 하는 17번, 17-1번, 660번 노선을 비롯한 서울 무역센터~광주터미널을 오가는 G3202번 노선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으며, 현장에서 버스노선 조정 등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자형 도의원은 “오포 문형·추자·고산동 학생 등의 시내 권역(역·경안·탄벌·송정동)으로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고 버스 노선개편이 이루어진 점이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밝히며 광주시의 재검토를 요청했다.

 

황소제 시의원은 이번 노선변경 시행에 우려를 표명하며, “교통약자인 어르신 등의 원활한 이동권 보장을 고려하여 현 버스노선개편(안)의 재조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한편, 이자형·김선영 도의원, 박상영·황소제 시의원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을)지역위원회는 버스 노선개편에 깊은 관심을 가지며 수요응답형 똑버스, 학생순환 통학버스 등을 통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점검하고 보완해 나가야 함을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