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글로벌뉴스 - 박지형 기자) 앞으로 시외로 나갈 필요없이 한강에서도 카약이나 요트, 윈드서핑 등 다양한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고, 개인용 선박을 정박하거나 개인 수상레저기구 보관도 가능해진다. 전문가로부터 수상레포츠 체험 지도와 수상 안전교육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난지한강공원 내 설치된 서울 최대 규모의 공용계류장(마리나)이자 한강의 새로운 수상레포츠 명소로 자리 잡을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운영을 5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한강 최초의 친수복합시설의 탄생이다.
이번에 문을 여는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난지한강공원 인근 월드컵대교 하류(마포구 한강난지로 162 일대)에 조성된다. ‘수상 계류장’, ‘육상계류장’에 선박 총 84척을 정박할 수 있고 교육장, 탈의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이 갖춰진 ‘수상레포츠 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센터는 오전 10시 개장해 오후 7시까지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은 휴장한다. 수상레포츠 활동은 일몰 후 30분까지 가능하다.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모든 시민에게 열려 있다. 시민 누구나 아름답고 맑은 한강에서 카약과 딩기요트(1~2인용), 킬보트(3~4인용) 등 다양한 수상체험이 가능하다. 모든 프로그램은 수상 안전 이론, 수상레저기구 조작법 등 전문 강사 교육 후 탑승할 수 있다.
우선 수상레포츠 경험이 없이도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카약 체험’은 정오부터 2시간 단위로 일몰 30분 전까지 운영된다. 시간대별로 최대 10명이 이용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노을빛 하늘과 한강을 즐길 수 있는 해질 무렵 선셋카약이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람의 흐름을 직접 느끼며 항해하는 ‘딩기요트 체험’은 14세 이상의 청소년부터 이용 가능하다. 최소 5명 이상 단체 예약이 필수며 매주 1∼2회 4시간 단위로 운영하며 수준에 따라 초‧중‧상급자용 요트를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3인 이상이 협력하고 소통하며 팀워크를 기를 수 있는 ‘킬보트체험’도 14세 이상 청소년이면 탑승할 수 있다. 체험 중심 프로그램(2시간)과 심화 교육프로그램(4시간)으로 나뉜다.
수상레포츠 체험은 현장과 전화로 신청 가능하며 5월 중순부터는 네이버 예약도 운영 예정이다. 요금은 성인, 청소년, 어린이 등 1인 기준 1만~8만 원이다.
개인 선박과 수상레저기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계류장은 수상과 육상으로 나뉜다.
‘수상 계류장’에는 전장 9m 이하 동력 수상레저 선박이 최대 30척까지 정박가능하다. 특히 즉시 운항이 가능할 정도로 접근성이 높아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육상 계류장’ 또한 전장 9m 이하 동력 선박 54척과 윈드서핑·카약·요트 등 무동력 수상레저기구 130여 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육상 계류장은 이용자 안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동력 기구와 무동력 기구 계류장, 2곳으로 나눠 운영한다. 육상 계류장은 수상에 비해 기상의 영향을 덜 받으며 기구의 관리와 점검도 용이하다.
계류장 이용 신청은 수상레포츠센터를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할 수 있으며 신청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미래한강본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울시는 서울수상레포츠센터가 수상레포츠 체험공간을 넘어 서울을 대표하는 수상레저 허브로 자리매김하도록 유관단체·대학·동호회 등과 다양한 협력 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청소년 세일링 탐사대, 대학생 요트 동아리교육 등 청소년·청년 프로그램과 함께 클럽리그·대학리그 등 각종 국내·외 대회도 유치예정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도심에서 자연과 수상레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서울의 새로운 명소가 될 것”이라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도시의 매력을 키워 글로벌 도시경쟁력도 높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