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타임스] 경기도는 내년에 1천721억원을 투입해 공공형 5만2천630개, 시장형 1만599개, 민간 인력파견형 3천254개 등 모두 6만6,483개의 노인일자리를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5만1천19개보다 1만5천464개(30.3%) 증가했다.
공공형은 노노케어, 장애인 봉사, 공공시설봉사, 취약계층 지원, 경륜전수 등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가 월 30시간 이상 일할 경우 27만원의 활동비를 지급한다.
시장형 노인일자리는 학교급식 도우미, 스쿨존 교통지원 등 전문서비스형, 공동작업형, 아파트택배, 식품제조 및 판매 등으로 보험료. 재료비 등 부대비용으로 연간 200만원을 지급한다.
인력파견형은 공공전문, 요양, 간병, 운송, 배달, 요금정산, 매표, 주유 등 판매,청소, 환경미화, 주차관리 등 단순노무 등 분야에 일자리 교육비와 면접비을 지원한다.
시장형과 인력파견형은 60세 이상으로 임금은 근로시간과 능력에 따라 차등 지급한다.
경기복지재단의 복지플랫폼에 노인일자리 정보를 제공해 베이비부머 세대의 재취업 준비교육과 노후준비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