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타임스] 경기지역 미군 공여지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기간이 5년 더 연장됐ㄷ기때문이다.
경기도는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발전종합계획(2008~2022)' 변경(안)을 행정안전부에서 26일 확정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변경은 기존 2008년 수립된 발전종합계획(2008~2017)이 ‘일부기지의 반환 지연’, ‘경기침체로 인한 민자유치 저조’ 등으로 당초 목표였던 2017년 내 완료가 어려워짐에 따라, 미군기지 평택이전이 마무리되는 2022년까지로 사업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도의 경우 기존 발전종합계획에 203건이 반영돼 있었으나, 이번 변경안으로 22건이 변경, 5건이 삭제, 40건의 사업이 신규 추가됐다.
이를 통해 경기도에서만 최종 38조 1천308억 원 규모의 240건의 사업들이 반영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된다. 이는 기존 계획보다 37건이 더 많아졌다. 7천813억 원이 더 확대된 규모이다.
신규 추가사업 의정부시 국도39호선 송추길 확장사업 등 ‘주변지역 지원사업’ 40여건이 반영됐다.
변경사업으로는 파주 캠프 하우즈 공원부지 매입 등 22건이 반영됐다.
화성 매향1마을 하수도건설사업 등 5건은 여건변화에 따라 계획에서 제외했다.
경기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국가안보를 위해 전국 미군기지의 87%, 210㎢에 달하는 곳이 미군기지로 활용되어 왔으나, 2004년 미군 재배치계획에 맞춰 평택기지로 이전하게 되면서 미군 반환기지주변지역을 새로운 지역의 성장 동력이자 기회의 땅으로 인식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