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전원도시도 미세먼지 안전지대 아니다


[경기타임스] 경기도북부지역 남양주시, 이천시, 광주시, 여주시, 가평군, 양평군 6개의 시‧군이 미세먼지 농도가 경기도 평균 농도보다 나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경기동부 도농복합지역의 미세먼지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경기동부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감소하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이천시(58㎍/㎥), 여주시(54㎍/㎥) 등은 경기도 평균농도(53㎍/㎥)를 상회하면서 수원(53㎍/㎥), 성남(46㎍/㎥) 등 대도시 지역보다 오히려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남양주시의 대기질 농도는 타 지역에 비해 좋았으나 2016년 PM10 농도는 45㎍/㎥로 경기도에서 제일 낮은 지역이고, 감소하는 추세였다.

이천시의 PM10 농도는 2016년 58㎍/㎥로 경기동부지역에서 가장 높았다.

여주시는 54㎍/㎥로 이천시 다음으로 높은 농도였다. 그러나 2013년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다. 광주시는 10년 동안 증감을 반복했으나, 2016년 52㎍/㎥로 감소했다.

가평군은 48㎍/㎥로 경기동부지역 중 유일하게 농도가 증가했다. 하지만 경기도 평균 수치보다 낮았다. 양평군은 46㎍/㎥로 남양주시 다음으로 농도가 낮았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동부지역은 산업시설, 교통 등에 의한 자체적인 대기오염 유발 요인은 크지 않지만 중⋅소 배출시설의 관리 부족, 생물성연소 만연, 비산먼지 발생 등의 이유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다”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도농복합지역은 대도시 지역은 아니지만 인구가 밀집된 특정 지역에서는 교통수요관리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며 “중심 상업지구, 시청 등 관공서가 위치한 지역에서는 대중교통체계를 점검하고, 주민불편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강력한 승용차 이용 억제대책을 실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