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타임스]경기도의 도내 1인가구의 44.7%는 중장년층이며 이들의 비정규직은 57.8%는 비정규직인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II: 1인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도내 103만 명으로 2000년의 34만 명보다 2배 넘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13%에서 23%로 10%포인트 높아졌다.
1인가구 연령대는 중장년층 중장년층(40~64세)46만명,청년층(20~39세) 37만 명,노년층(65세 이상) 20만명 순으로 조사됐다.
청년층은 구직·취업(88.0%)이, 노년층은 사별(76.4%)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중장년층의 1인 가구 전환 사유는 구직·취업(44.9%), 가족과 불화(21.4%), 사별(17.5%) 등이다.
일자리의 경우 중장년층 1인 가구의 57.8%가 비정규직으로, 청년층(55.6%)보다 비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노년층은 93.0%가 비정규직이었다.
경기연구언 최석현 연구위원은 “1인가구는 실업, 질병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노출될 시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하여 가족 및 친척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며 “특히, 중장년 1인가구는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고용불안정성이 높지만, 정책 지원범위에서는 배제되는 경향이 있어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