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4차 산업혁명 섬유산업 일자리 1만5천900개 만든다


[경기타임스] 경기도가 2021년까지 섬유산업에 2천411억원을 들여 28% 수출을 늘리고 늘리고 일자리 1만5천900개를 만든다.
 
도는 양주시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에서 '제4회 섬유의 날' 기념식에서'경기도 섬유산업 육성 2차 종합계획'을 7일 발표했다.
 
섬유산업 육성 종합계획은 4차 산업혁명의 섬유산업 육성 4가지 추진 전략을 제시했다.

4대 추진 전략은 중·고가 시장 공략과 신규시장 창출 지원을 위한 마케팅 지원과 브랜드 육성, 생산성·품질 향상과 기술경쟁력 확보, 섬유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근로환경 개선과 인재 육성, 섬유 기반 구축 등이다.
 
섬유 기업 마케팅 지원과 브랜드 육성을 위해 8개 사업에 279억3천만원을 투입한다.

유럽의 의류생산기지인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역에 500㎡ 규모의 창고형 비즈니스 공간을 마련, 도내 섬유업체의 유럽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지역 생산한 원단으로 저렴한 가격에 교복을 제작해 2021년까지 250개 학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독창적인 친환경·기능성 제품 개발을 유도할 방침이다.
 
섬유 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9월 안산에 있는 경기테크노파크에 한국·독일 공동연구소를 개설, '스마트 텍스트로닉스'(Smart Textronics) 융합기술을 개발하는 등 신기술 개발 14개 사업에 893억9천만원을 투입한다.
 
섬유 인력 양성에도 8개 사업에 417억8천500만원을 투입한다.
 
섬유 기반 구축에는 819억7천만원을 들여 7개 사업을 벌인다.

2020년 양주에 스마트 의류전시관과 기업 연구소 등의 시설을 갖춘 섬유비즈니스센터를 건립하고 이곳에 원단 중개판매업자를 유치, 지역에서 생산한 고급 니트 원단을 미국과 유럽 등 해외에 수출한다는 계획이다.
 
남경필 도지사는 "국제 섬유시장이 기능성 의류 등 니트 위주로 재편되면서 국내 니트 산업의 중심지인 경기도의 발전 가능성도 커졌다"며 "섬유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발판으로 섬유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