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타임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살처분 중심의 대책추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경기도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은환 경기연구원은 “살처분 중심의 방역정책은 한계가 있다”면서, “이제는 더 강력한 예찰·초동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구체적인 대안으로 현행 방역체계를 4단계에서 2단계로 간소화하고 초동방역담당 가축방역관 확보, 가축사육 총량제 도입, 소독 시스템 개선, 축산질병 자조금 제도 도입, 백신 정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등을 제시했다.
윤종웅 가금수의사회장은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충분한 방어력을 가진 상업용 백신 후보군이 이미 개발됐다. 살처분 정책의 보완책으로 긴급백신을 도입, 바이러스의 증식과 배출속도를 완화·감소시킬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는 “농가당 가축사육 총량제 도입, 감금틀 사육 폐지, 사육농가 거리제한제 도입, 계열화 기업의 방역책임 강화, 겨울철 가금산업 휴업보상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어 "상시 예방백신 제도의 도입과 방역협의회의 조직·운영을 통환 종합적인 역학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방역시스템의 효과를 높이고, 그간 행해져왔던 ‘예방적 살처분’의 중단과 인도적 살처분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는 철새도래지와 AI예찰강화, 살처분 보상금의 정부보조확대, 방역과 동물복지를 고려한 축사시설개선 시범사업, 바이러스 농장유입차단 대책 마련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
도는 토론회에서 나온 의견들을 종합적으로 수렴·검토한 후 향후 AI 등 동물질병 방역정책의 방향을 수립·운영하는데 반영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AI 방역대책 패러다임 변화와 현 축산형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적극 공감한다”며, “동물복지형 축사 시범운영, 방역시설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동물질병 방역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