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한국글로벌뉴스

배너
  • 한국어
  • English
  • 日本語
  • tiếng Việt
  • 中文
  • русский язык

2022.05.21(토)

  • 동두천 20.2℃맑음
  • 강릉 27.2℃맑음
  • 서울 21.2℃맑음
  • 대전 23.8℃맑음
  • 대구 26.8℃맑음
  • 울산 21.1℃맑음
  • 광주 22.5℃맑음
  • 부산 19.1℃맑음
  • 고창 20.9℃맑음
  • 제주 21.0℃맑음
  • 강화 15.7℃맑음
  • 보은 23.4℃구름많음
  • 금산 21.2℃맑음
  • 강진군 23.3℃맑음
  • 경주시 27.3℃맑음
  • 거제 22.5℃맑음
기상청 제공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핀터레스트
  • 기사제보
  • 문의하기
  • 회원가입
  • 로그인
  • 메뉴
  • 전체기사
  • 기획특집
  • 뉴스
    • 포커스
    • 의정소식
    • 문화·교육
    • 사회
    • 이모저모
    • 경기도정뉴스
    • 경기지방뉴스
    • 경제
    • 스포츠 연예
    • 글로벌소식
    • 동영상뉴스
    • 정치
  • 다솜이네
    • 다솜이네
  • 다솜글로벌
    • Issue
    • Visit
    • Travel
    • Rainbow's Eyes
    • Bulletin
    • Language
  • 오피니언
    • Essay
    • Column
닫기
  • 전체기사
  • 기획특집
  • 뉴스
    • 포커스
    • 의정소식
    • 문화·교육
    • 사회
    • 이모저모
    • 경기도정뉴스
    • 경기지방뉴스
    • 경제
    • 스포츠 연예
    • 글로벌소식
    • 동영상뉴스
    • 정치
  • 다솜이네
    • 다솜이네
  • 다솜글로벌
    • Issue
    • Visit
    • Travel
    • Rainbow's Eyes
    • Bulletin
    • Language
  • 오피니언
    • Essay
    • Column

難字難訓

  • 홈
  • 다솜이네
  • 難字難訓
  • 難字難訓 艶 고울 염

    염(艶)의 본자(本字)는 염(?),염(?)이다. 염서(艶書)는 love letter의 한어(漢語)적 표현이다. 염문(艶聞)은 어떤 사람에 관한 좋지 않은 평판, 이른바 스캔들을 을 의미한다. 염문(艶聞)은 이성관계가 있다는 소문의 의미로 사용된다. 염서(艶書), 염문(艶聞)의 염(艶)은 남녀간의 연애(戀愛), 정사(情事)를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종류의 외설적인 이야기는 중국에 많은데 예를 들자면 이런 이야기다. ‘옛날에 고향을 떠나 멀리 시집을 갔던 딸이 오랜만에 친정집에 돌아오자 엄마가 “그곳 풍습은 우리하고 많이 다르더냐?” 하고 묻자 딸이 대답하기를 “그곳은 참 이상해요. 우리는 베개를 머리에 베는데 그곳에선 허리에 베던데요. 하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직접적이지 않고 그렇게 외설(猥褻)적이지도 않은 참으로 맛깔스런 이야기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好而長也。??。?,大也。?聲。로 풀이하고 있다. 즉 (“염(?)은 좋고 큰 것이다. 풍(?)에 따른다. 풍(?)은 크다는 뜻으로 염(?)으로 읽는다. 즉, ”좋고, 길며, 풍성하고, 크고, 아름답다.“ 라는 요소를 갖고 있기에 꼭 여성을 의식해서 사용하는 말은 아닌 듯싶다. 다만 춘추전(春秋傳)에서

    • 박소연 기자
    • 2022-02-16 14:41
  • 難字難訓 寒 來 暑 往 秋 收 冬 藏 (한래서왕 추수동장)

    寒 來 暑 往 秋 收 冬 藏 (한래서왕 추수동장) “추위가 찾아오면 더위는 물러가고, 가을에는 작물을 수확하고 겨울에는 창고에 쌓는다” 는 뜻으로 순자(荀子) 왕제(王制)편에 나오는 말이다. 일찍이 순자가 갈파한 자연의 섭리로 ‘봄에는 나고(春生), 여름에는 자라고(夏長), 가을에는 거두고(秋收), 겨울에는 갈무리하는(冬藏)’ 사계절의 순환을 설명한 글이다. 역경(易經) 계사전(繫辭傳) 5장에 이르길 ‘추위가 가면 곧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다시 추위가 오니 서로 밀쳐서 한해를 이룬다.’ 하였다.(寒往則暑來, 暑往則寒來, 寒暑相推而歲成焉.) 봄은 청양(靑陽)이라 하여 자연에 미치는 풍기(風氣)가 온화하며, 여름은 주명(朱明)이라 해서 풍기는 덥고 뜨겁다. 가을은 백장(白藏)이라 청량(淸凉)하고 겨울은 현영(玄英)이어서 풍기가 늠렬(凜烈 의젓하고 당당함)하다. 사계절이 교차함으로서 비로소 오곡(五穀)이 성숙(成熟)해지는 것이다.

    • 박소연 기자
    • 2019-01-16 17:02
  • 難字難訓 懷 품을 회

    회중물(懷中物)이라는 말이 있다. 보통 품속에 감추는 지갑이나 시계처럼 작은 휴대품 등을 이르는 말이지만 옛날 사람들은 품속에 안경이나 담배, 장기 알, 작은 수첩 등 여러 가지 물품을 넣어가지고 다녔다. 아마도 회중전등(懷中電燈)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회(懷)라는 글자는 가슴팍에 닿는 옷감의 주머니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비유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밖으로 드러내지 않고 한정된 범위 내에 있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회의(懷疑)는 마음속으로만 느끼는 의심이고 ‘회포(懷抱)를 푼다’는 것은 마음속 생각을 드러낸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양화(陽貨)편에 子生三年然後 免於父母之懷 夫三年之喪 天下之通喪也 라는 구절이 있다. 자식은 태어나 삼 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므로 따라서 부모를 위해 삼년상을 치루는 것은 세상에 통하는 원칙이다 는 뜻이다. 회임(懷妊)은 임신의 다른 말이다. 회태(懷胎)라고도 하며 회잉(懷孕)이라고도 한다. 이때의 회(懷)는 ‘품에 넣는다’ ‘보듬어 안다’라는 의미다. 흔히 공자는 ‘옥(玉)을 품은 사람’ 즉 재능이 넘치는

    • 박소연 기자
    • 2019-01-16 16:59
  • 難字難訓 龍 용룡

    요즘에는 ?을 약자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오히려 약자가 글자의 원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머리에 관(冠)을 쓰고 벌떡 일어서는 뱀의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문자(象形文字)이기 때문이다. 용(龍)이라는 본래 글자의 우측은 너더분한 모양을 붙여놓았을 뿐이다. <잠룡(潛龍), 연못에 있으니,>(주역(周易)처럼 평소에는 물속에 잠겨있지만 때로는 승룡(昇龍)이되고 비룡(飛龍)되어 뇌우(雷雨)를 일으킨다. 물과 비의 신(神)인 셈이다. 중국에는 강이나 호수 근처에 반드시 라고 해도 좋을 만큼 작은 용신묘(龍神廟)가 세워져 있다. 이 이야기의 원형(原形)이 중국 서남부의 소수민족 사이에서 전승되고 있다. “옛날 물속에 괴어(怪魚)가 살고 있었는데 한번씩 난동을 부리면 대홍수가 나곤 해서 사람들이 고민에 휩싸였다. 그런데 황색의 작은 뱀이 제방의 터진 부분을 수초(水草)로 막고 괴어를 찾아내서 격투 끝에 물리쳤지만 자신도 힘이 다해 그만 죽고 말았다. 그래서 사람들이 이를 슬퍼해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용신(龍神)은 바다의 신(神)이 되었으며 중국이나 동아시아 연해(沿海)에서는 봄 여름으로 용신경도(龍神競渡)의 제례가 행해지

    • 박소연 기자
    • 2018-09-27 13:39
  • 難字難訓 鬱 답답할 울,울창할 울

    울창주 창 부수에 총획 29획의 매우 답답하고 근심스럽고 즐겁지 않은 글자(鬱陶 울도)다. 원래 글자는 울(?)이라고 한다. 울(鬱)은 구(臼 절구, 확)와 부(缶 장군 부, 두레박 관), 멱(? 덮다), ?(울창주창과 삼(?터럭)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글자다. 구(臼 절구, 확)은 양 손, 부(缶 장군 부, 두레박 관)는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 멱(? )은 덮는 것, 창(?)은 발음이 창(暢)과 통하여 펴다, 늘어나다, 삼(?)은 꾸민다는 의미다. 향초(香草)를 양손에 들고 항아리에 넣어 밀봉하면 향기가 깃들어서 향이 좋은 술이 되는데 이 향기로운 술을 담그는 향초(香草)가 울(鬱)이다. 울(鬱)은 울(?)의 구(臼)가 임(林)으로 바뀌고 나무가 우거진 형상을 의미한다. 울(? 답답할 울/울창할 울)과 울(? 답답할 울/울창할 울)은 속자(俗字)이다. 울(鬱)은 나무가 빽빽하게 자라서 울창하게 우거진 모양을 나타내는 의미 외에도 사물이 왕성한 모양을 나타내어 울발(鬱勃 기운이 왕성한 모양), 울연(鬱然학식이 많아 깊이를 알 수 없는 형용; 세력이 커서 무시할 수 없는 모양)과 같은 단어가 사용되고 있다. 사물의 기운이 왕성해서 그곳을…

    • 박소연 기자
    • 2018-09-19 13:26
  • 難字難訓 畏, 두려워할 외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외(畏)는 「부정한 것, (惡). 귀신의 머리(불?)나 호랑이(虎)의 생략형이다. 귀신과 같은 머리모양을 하고 호랑이의 발톱을 하고 있으면 두려워해야 할 것이다.」라고 해설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틀린 해석으로 호랑이(虎)모양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귀신(鬼)모양이다. 畏의 갑골문자(甲骨文字)를 보면 커다란 머리를 한 귀신이 어떤 무기를 손에 쥐고 있는 형상으로 畏와 鬼는 거의 같은 글자라고 할 만큼 닮아있어서 「괴물(怪物)의 위압(威壓)을 받아서 마음이 움츠러져 위축되는 것」이 외(畏)의 원뜻이라고 한다. 괴물, 바꾸어 말하자면 초월적(超越的) 존재, 존귀(尊貴)한 존재, 인간의 인지능력으로는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외(畏)라는 글자에는 ‘두려워서 꺼리거나 두려워서 삼가고 경외하는 마음이 포함되어있다. 외경(畏敬)이라는 단어가 그 뜻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다. 비슷한 글자인 공(恐두려워하다, 염려하다), 포(怖 무서워하다), 율(慄두려워 떨다)과는 의미가 다르다.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말이 있다. 후생(後生)이란 뒤에 태어난 사람이라는 뜻으로 먼저 태어난 사람을 선생(先生)이라 하는 것에 대한 댓구 성격의 말이다. 후생(後生), 즉…

    • 박소연 기자
    • 2018-09-19 13:13
이전
1
다음

포토리뷰

  • 화성시, 도시의 경쟁력 확보 경관계획 재정비 공청회 개최
  • 화성시, “폐건전지 수거함 드려요”
  • 이권재–김은혜 후보 ‘오산시장-경기도지사’ 원팀 선거출정식
  • 수원문화재단, 문화다양성 주간을 맞아 진행하는 수원만의 문화다양성 찾기
  • 경기도지사 김은혜 후보 “일산대교 무료화 제대로 실현하겠다”
  • 경기도지사 김동연후보 “과학기술 혁신성장 중심 경기 만들 것”, 4대 정책공약 발표

인기기사

  • 1구혁모 화성시 시장 예비후보, “ 신선한 보육정책, 아이를 키워주는 화성 5대정책 발표 ”
  • 2국민의힘 화성시의원 임채덕 후보. "일 잘하는 시의원 "시민의 칭송과 축하속에 개소식 성황리 마쳐.
  • 3화성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2022년 부모또래 상담사업 시작
  • 4화성시 시장 구혁모 예비후보, “ 국민의힘 후보로 출격 준비완료, 다크호스에서 유력 후보군으로 떠올라 ”
  • 5이종권 前 화성시 자원봉사센터 이사장, 화성시의원 출마!
  • 6더불어민주당 정명근 화성시장 후보," 화성시 반려동물 정책 수립을 위한 공감대ㆍ전문성 모아 "
  • 7경기도민 “나를 위한 선물, 25만원의 행복 충전” 노동자 휴가비 신청하세요!
  • 8화성시 (사)환경실천연합회 화성지회, 보통리저수지 주변 환경정화 실시
  • 9제8회 지방자치선거 예비후보들 ,불공정 경선과 공천에 "어떤 기준이 우선이냐?' 볼멘소리 터져나와
  • 10정명근 화성시장 예비후보 공동주택(아파트) 공공관리공단 설립 공약, “아파트 관리비, 확 줄이겠다”

최신기사

2022-05-21_SAT

  • 화성시, 도시의 경쟁력 확보 경관계획 재정비 공청회 개최 00:03

2022-05-20_FRI

  • 화성시, “폐건전지 수거함 드려요” 23:56
  • 이권재–김은혜 후보 ‘오산시장-경기도지사’ 원팀 선거출정식 23:51
  • 수원문화재단, 문화다양성 주간을 맞아 진행하는 수원만의 문화다양성 찾기 23:47
  • 경기도지사 김은혜 후보 “일산대교 무료화 제대로 실현하겠다” 23:37
  • 경기도지사 김동연후보 “과학기술 혁신성장 중심 경기 만들 것”, 4대 정책공약 발표 23:34
  • 장인수 오산시장 후보, 출산이 축복이 되고 아이가 행복한 오산 5대 공약 발표 23:29

  • 신문사소개
  • 찾아오시는 길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책임자 : 박지형)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문의하기
UPDATE
: 2022.05.21 00:07
로고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세지로 230 한텍 201호. 화성지사 : 화성시 현대기아로 733-4대표전화 : 031-8019-8992 팩스 : 031-8019-8995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지형
명칭 : 한국글로벌뉴스 제호 : 한국글로벌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 51741 등록일 : 2017-11-23 발행인 : 박소연 편집인 : 박소연
한국글로벌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한국글로벌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gfnews@naver.com

powered by mediaOn
최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