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타임스] 수원시가 ‘보행자 중심 도로환경’, ‘안전한 도로환경’, ‘안전한 차량’, ‘안전체계 관리’ 등 4개 중점과제와 21개 세부계획으로 이뤄진 ‘제3차 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한다.
시는 12일 수원시청에서 ‘제3차 수원시 교통안전기본계획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향후 5년간(2017~2021) 추진할 교통안전 정책 방향을 밝혔다. 교통안전기본계획은 교통안전법에 근거한 5년 단위 법정계획으로 최근 5년간(2011~2015년) 수원시 교통사고 발생 추이·원인을 분석해 앞으로 5년간 교통안전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국가·경기도 기본계획이 반영된다.
시는 ‘보행자 중심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어린이 보호구역 지속관리 ▲고령 보행자 안전교육 시행 확대 ▲등하굣길 보행 안전지도 활동 강화 ▲보행자 안전 캠페인 시행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또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을 위해 ▲도시부 제한 속도 50·30㎞/h 이하 대상도로 확대 ▲회전교차로 이용방법 대대적 홍보 ▲터널·지하차도 사고 예방시스템 도입 등 8개 세부 과제를 추진하고, ‘안전한 차량’을 만들기 위해 첨단 안전장치를 적극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선진적 안전체계 관리’를 위해 ▲교통안전 재원 확보 노력 강화 ▲불법 명의 자동차 단속 강화 ▲교통사고 취약 운수업체 특별 안전점검 강화 ▲부적격 운전자 고용 운송업체 행정처분 강화 등을 추진한다.
수원시는 ‘제3차 교통안전기본계획’ 실행에 시비 834억 700만 원, 국비 342억 900만 원 등 2021년까지 1176억여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지난 3월,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 중간보고회를 열고 교통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은 바 있다. 교통전문가들은 ▲어린이와 고령자 맞춤형 안전대책 마련 ▲사고누적지점에 대한 원인 분석, 개선방안 검토 ▲회전 교차로 지속해서 확대 ▲타 지방자치단체 우수사례 활용해 사업 발굴 등을 제안했고, 이는 최종계획에 반영됐다.
인구, 자동차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특히 교통약자인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2011~2015년 65세 이상 인구는 6.1% 늘어났다. 고령화 사회에 맞는 교통안전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5년 기준으로 인구 1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0.31명),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수(0.82명)는 전국·경기도 평균보다 적다.
2011~2015년 교통사고 사망자 유형은 ‘차 대 차’ 사고가 73%로 가장 많았고, ‘차 대 사람’이 23%, ‘차량 단독’이 4%였다.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하는 시간은 퇴근 시간대인 18~20시로 전체의 14%를 차지했다. 법규위반 유형별 교통사고 비율은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63%로 가장 많았고, ‘신호 위반’(16%), ‘안전거리 미확보’(14%), ‘중앙선 침범’(4%)이 뒤를 이었다.
한편 지난해 수원시 교통문화지수는 87.5점(100점 만점)으로 인구 30만 이상 28개 시 중 3위를 차지했다. 교통문화지수는 운전 행태, 교통안전, 교통환경 등 3개 부문의 11개 항목을 평가해 수치화한 것이다.
최종보고회에는 도태호 수원시 제2부시장을 비롯해 수원시의회 의원, 경찰서·소방서 관계자, 교통전문가들로 구성된 ‘수원시 교통안전정책 심의위원회’ 위원 등이 참석했다.
도태호 부시장은 “선진 교통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며 “누구나 살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안전한 수원’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