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타임스] 사회에서 성공의 조건으로 19-39대가 꼽은 가장 중요 덕목은 노력·.성실성인것으로 나타낫다.
수원시정연구원이 10월 10일∼31일 경기 수원에 거주하는 만19∼39세 800명(남자 415명, 여자 385명)을 대상으로 대면·인터넷 설문조사를 한 결과, 사회에서 성공하는 데 중요한 조건으로 '노력·성실성'(22.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러나 과거 출세 조건으로 여겨왔던 '재력'(21.3%), '집안 배경'(19.3%), '인맥'(13.9%), '학벌·학력'(11.3%)은 뒤로 처졌다.
시정연구원은 이번조사 대상이 20-30대가 수원이라는 지역으로 한정됐으나 노력=성공이라는 건강한 이식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혼 청년(539명)간운데 '결혼할 생각이 있다'라고 답한 비율은 55.5%였다.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17.3%),‘과거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다’(11.5%), ‘생각해 본 적 없다’(11.1%), ‘과거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다’(4.6%)순이다.
결혼하지 않는 이유(2개 선택)는 ‘경제적 여유 부족’(57.5%0, ‘상대방에게 구속되기 싫어서’(48.3%0, ‘결혼생활로 인해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 같아서’(35.6%), ‘기대치에 맞는 사람을 만나지 못할 것 같아서’(28.7%)다.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공공기관’(34.6%0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26.6%), ‘창업’(12.1%), ‘전문 중소기업’(10.5%), ‘외국계 기업’(8.0%), ‘일반 중소기업’(7.8%) 순이었다.
선택 이유는 ‘고용이 안정적일 것 같아서’(26.3%),‘보수가 많을 것 같아서’(22.2%), ‘복지혜택이 좋을 것 같아서’ (14.1%)다.
청년실업의 근본 원인은 ‘기업의 일자리 창출 부족’(39.3%),‘청년들 개개인의 능력 부족·눈높이’(23.4%), ‘정부의 고용촉진 노력, 구인·구직 불일치 해소 노력 부족’(22.5%), ‘너무 많은 대학 졸업자’(14.9%)다.
'10년 후에도 수원시에 계속 거주하겠다”는 (55.1%),수원시에 강한 소속감으로 애착이 컸다.
‘집 마련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10년 이후’(35.8%),‘5~10년’이 (20.6%),‘집을 마련할 수 없을 것 같다’가 (17.6%)이었으며 집을 갖고 있다는 (18.1%)로 조새 됐다.
부채가 있는 청년(194명)의 평균 부채는 6천301만 원이었다.‘5001만 원 이상’(33.5%),‘1~1000만 원’ (25.8%), ‘1001~2000만 원’ (18%)을 차재했다.
흡연율은 20.8%로 낮게 대답했으나 음주하는 청년은 80.9%를 응답했다.
김현광 수원시 청년정책관은 “이번 청년 생태계 조사로 수원 청년들의 전반적 삶의 현황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면서 “자료를 토대로 부서별로 추진하고 있는 ‘수원형 청년 정책’이 더욱 실효성 있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