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정조대왕의 ‘효’ 그 시작과 끝을 재조명하다

  • 등록 2018.10.08 09:19:41
크게보기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융?건릉에서, ‘2018 정조 효문화제’ 개최
영우원 천장, 능행차, 현륭원 제향 재현행사 비롯한 전통문화체험 풍성
철저한 고증과 시민참여로 지역민 자긍심 높여

현륭원 궁원 제향 모습 1
현륭원 궁원 제향 모습2

 

화성시 대표 문화제인 ‘2018 정조 효 문화제6일과 7일 이틀간 유네스코 세계유산 융·건릉에서 성황리에 펼쳐졌다.

효의 시작과 끝, 융릉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효 문화제는 그 어느 해보다 풍성하고 알찬 프로그램과 높은 시민참여로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는데 손색이 없었다.

올해 첫 선보인 영우원 천장은 사도세자의 묘를 천하제일 명당 화성시 융릉으로 이장하는 왕실 장례문화 재현행사로 시민들과 호위군, 의장 등 총 350여명이 화성 88수영장에서 출발해 융릉까지 1.4km 구간을 걸으며 장엄한 장면을 연출해 많은 관심을 끌었다.

또한 경기도와 서울시, 수원시 등이 공동 재현해 시작 전부터 많은 기대를 모았던 정조대왕 능행차는 6일 창덕궁에서 시작해 7일 수원시와 화성시의 시계인 대황교동에 이르러 현충공원, 융릉까지 말 70, 취타대 90명 등 시민 총 500명이 참가하며 대미를 장식했다.

능행차가 융릉에 도착하자 전주이씨 대종종약원의 철저한 고증으로 재현된 현륭원 궁원의 제향이 펼쳐졌으며, 이를 메인무대에서 해설과 함께 이원 중계해 시민들의 이해를 높였다.

폐막 공연으로는 정조대왕의 효심과 애민을 엿볼 수 있는 연극 정조의 꿈, 과 뮤지컬 정조대왕 초장지가 무대에 올라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번 문화제에서는 음식 콘텐츠도 많은 인기를 끌었다.

200여 년 전 정조대왕이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게 올렸던 은이 연포탕, 타락죽, 소고기 장조림, 화성 삼합, 곶감 쌈과 오미자차 등 효행 밥상이 박춘호 대전보건대학교 호텔외식조식과 교수와 함께 고증을 통해 재현돼 행사장을 찾은 시민들에게 나눠졌다.

뿐만 아니라 정조대왕의 일생을 테마로 한 스탬프 투어, 저잣거리체험, 우리가족 가훈 써주기, 조선왕족 의상체험, 호패 만들기, 장용영 갑주체험, 해시계 만들기 등 조선시대를 느껴볼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과 전문 해설사와 함께하는 ·건릉 역사탐방이 진행돼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화성시는 이번 문화제의 성공을 바탕으로 효의 도시계승을 위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한국글로벌뉴스 기자 kgfnews@naver.com
Copyright © 2019 한국글로벌뉴스.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수원본사]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세지로 230 한텍 201호.[화성시 지점] 화성시 현대기아로 733-4 .[오산시 지점]오산시 남부대로 446, 2층 오피스밸리 261(고현동)대표전화 : 031-8019-8992 팩스 : 031-8019-8995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종욱 명칭 : 한국글로벌뉴스 제호 : 한국글로벌뉴스 등록번호 : 경기 아 51741 등록일 : 2017-04-23 발행인 : 박소연 편집인 : 박소연 한국글로벌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한국글로벌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gfnews@naver.com